맨위로가기

제임스 스컬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스컬린은 아일랜드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나 호주 노동당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1910년 연방 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 1913년 낙선한 후 언론인으로 일했다. 1922년 재선에 성공하여 야당 내에서 재정 및 경제 전문가로 입지를 다졌으며, 1928년 당수가 되어 1929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총리가 되었다. 대공황 시기, 경제 위기에 대응하며 여러 정책을 추진했으나, 당내 분열과 상원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었고, 1931년 총선에서 패배하여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야당 대표와 존 커틴 정부의 고문으로 활동했으며, 1949년 은퇴 후 1953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총리 - 벤 치플리
    벤 치플리는 1885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태어나 총리를 역임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경제를 관리하고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은행 국유화 시도는 실패했으나 연방은행 설립 등 통화 정책 통제권을 강화하고 1951년 사망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총리 - 앤서니 앨버니지
    앤서니 앨버니지는 1963년생 오스트레일리아 정치인으로 2022년부터 총리를 역임하고 있으며 노동당 대표로서 총선 승리를 이끌어 원주민 권리 헌법 명시, AUKUS 안보 협정, 기후변화 대응 등 다양한 국내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1953년 사망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1953년 사망 - 주공삼
    주공삼은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 시기를 거치며 월남을 시도하고 피난 생활을 하다가 1953년 뇌수막염으로 사망한 인물이며, 주요 자녀로 주요한, 주요섭, 주영섭 등이 있다.
  • 1876년 출생 - 로베르트 미헬스
    로베르트 미헬스는 사회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과두제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 이론을 제시했으며, 정당의 관료화와 소수 엘리트 지배의 관계를 연구했다.
  • 1876년 출생 - 찰스 케터링
    찰스 케터링은 전기식 계산대, 자동차용 전기 시동 장치, 점화 및 조명 시스템을 개발하여 자동차 대중화에 기여하고 GM 연구소 부사장을 역임한 미국의 발명가, 엔지니어, 사업가이다.
제임스 스컬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스컬린 {{circa|1930년대}}
스컬린
존칭 접두사The Right Honourable
이름제임스 스컬린
원어 이름James Henry Scullin
출생일1876년 9월 18일
출생지트라왈라, 빅토리아 식민지
사망일1953년 1월 28일
사망지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안장지멜버른 종합 묘지
정당노동당
배우자세라 맥나마라 (1907년 결혼)
직업노동조합 운동가
정치인
서명
공직
직위오스트레일리아 총리
대수9대
임기 시작1929년 10월 22일
임기 종료1932년 1월 6일
군주조지 5세
총독존 베어드
아이작 아이작스
부총리테드 시어도어
이전 총리스탠리 브루스
다음 총리조지프 라이언스
직위오스트레일리아 야당 대표
총리조지프 라이언스
임기 시작1932년 1월 6일
임기 종료1935년 10월 1일
부대표프랭크 포드
이전 야당 대표조지프 라이언스
다음 야당 대표존 커틴
임기 시작1928년 3월 29일
임기 종료1929년 10월 22일
총리스탠리 브루스
부대표아서 블레이클리
테드 시어도어
이전 야당 대표매슈 찰턴
다음 야당 대표존 레이섬
직위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 대표
임기 시작1928년 4월 26일
임기 종료1935년 10월 1일
부대표아서 블레이클리
테드 시어도어
프랭크 포드
이전 대표매슈 찰턴
다음 대표존 커틴
직위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 부대표
임기 시작1927년 3월 17일
임기 종료1928년 3월 29일
대표매슈 찰턴
이전 부대표앨버트 가디너
다음 부대표아서 블레이클리
내각 직책
직위제13대 오스트레일리아 재무장관
임기 시작1930년 7월 9일
임기 종료1931년 1월 29일
이전 재무장관테드 시어도어
다음 재무장관테드 시어도어
직위산업부 장관
임기 시작1929년 10월 22일
임기 종료1932년 1월 6일
이전 장관존 레이섬
다음 장관존 레이섬
직위외무부 장관
임기 시작1929년 10월 22일
임기 종료1932년 1월 6일
이전 장관스탠리 브루스
다음 장관존 레이섬
선거구
의회오스트레일리아
지역구야라
임기 시작1922년 2월 18일
임기 종료1949년 10월 31일
이전 의원프랭크 튜더
다음 의원스탄 키온
의회오스트레일리아
지역구코랑가마이트
임기 시작1910년 4월 13일
임기 종료1913년 5월 31일
이전 의원존 그라턴 윌슨
다음 의원제임스 체스터 매니폴드
학력
학교마운트 로완 주립학교

2. 초기 생애

제임스 스컬린은 1876년 9월 18일 빅토리아주 트라왈라에서 태어났다.[1] 그의 부모 존과 앤(혼전 성씨 로건) 스컬린은 모두 아일랜드 가톨릭 신자였으며, 런던데리주 출신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철도 노동자였고, 20대에 호주로 이민 왔다. 제임스는 여덟 자녀 중 넷째였으며, 가족과 신앙심이 깊은 가톨릭 가정에서 자랐다.

1887년 가족은 발라랫으로 이사했고, 스컬린은 1900년까지 발라랫 지역에서 여러 가지 잡일을 했다. 이후 10년 동안 식료품점을 운영했다. 20대 중반에 야간학교에 다니며 독학했고, 호주 원주민 협회와 가톨릭 청년회에서 활동했다. 발라랫 사우스 스트리트 토론회에서 활동하며 정치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스컬린은 평생 독실한 로마 가톨릭 신자였으며, 술과 담배를 하지 않았다.

스컬린은 발라랫 시절 톰 만의 사상과 빅토리아주 노동 운동의 영향을 받아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1903년 지역 정치 노동위원회의 창립 회원이 되었고, 호주 노동자 연맹에서 선거 운동가와 정치 조직자로 활동했다. 1906년 연방 총선에서 알프레드 디킨에 맞서 발라랫 선거구의 노동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 1. 유년 시절 및 교육

스컬린은 1876년 9월 18일 빅토리아주 트라왈라에서 태어났다.[1] 그의 부모는 모두 아일랜드 가톨릭 신자였다. 그는 1881년부터 1887년까지 트라왈라 주립학교에 다녔고, 1887년 가족이 발라랫의 마운트 로완으로 이사한 후에는 12살까지 마운트 로완 주립학교에서 교육받았다.

2. 2. 청년 시절 및 노동 운동

1900년대 스컬린


제임스 스컬린은 1876년 9월 18일 빅토리아주 트라왈라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 존과 앤 스컬린은 아일랜드 가톨릭 신자였다.[1] 1887년 가족은 발라랫으로 이사했고, 스컬린은 1900년경까지 발라랫 지역에서 여러 직업을 가졌다. 그는 야간 학교에 다니고 독학하며 독서와 토론을 즐겼다. 호주 원주민 협회와 가톨릭 청년회에서 활동하며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발라랫 사우스 스트리트 토론회에서 활동하며 정치적 견해를 발전시켰다.[1]

스컬린은 톰 만의 사상과 빅토리아주에서 성장하는 노동 운동의 영향을 받아 1903년 지역 정치 노동위원회의 창립 회원이 되었다. 호주 노동자 연맹에서 선거 운동가와 정치 조직자로 활동했다. 1906년 연방 총선에서 노동당 후보로 출마하여 활발한 선거 운동을 벌여 당내 인사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1]

1907년 11월 11일, 스컬린은 발라랫 출신의 재봉사인 사라 마리아 맥나마라와 결혼했다.[1]

2. 3. 결혼

1907년 11월 11일, 스컬린은 발라랫 출신의 재봉사였던 사라 마리아 맥나마라와 결혼했다.[1] 슬하에 자녀는 없었다. 스컬린은 오랜 경력 동안 잦은 질병에 시달렸는데, 아내 사라는 남편을 보호하며 큰 지원과 보살핌을 제공했다.[1]

3. 정치 경력

1910년 국회의원 당선 후 스컬린


스컬린은 1910년 총선에서 노동당 후보로 코랑가마이트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이후 1913년 총선과 1918년 코랑가마이트 보궐선거에서 낙선했다.

총선 패배 후, 스컬린은 밸러랫의 노동 조합 소유 일간지 ''이브닝 에코(Evening Echo)'' 편집장으로 9년간 재직하며 빅토리아 노동 운동 내에서 입지를 굳혔다. 1918년 노동당 빅토리아 주 지부장으로 선출되어 당 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징병에 반대했으며, 1916년 특별 노동당 회의에서 빌리 휴즈 총리 등 징병 지지자들의 제명을 주장했다. 1920년대 초에는 당 강령에 경제 사회주의 정책 채택을 주도했다.

1920년대 스컬린


미래의 부총리 프랭크 포드와 함께한 스컬린


프랭크 투더 사망 후, 스컬린은 1922년 야라 보궐선거에서 야라 선거구 하원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이후 1946년까지 야라 선거구에서 활동했다. 1928년 매슈 찰턴의 뒤를 이어 연방 노동당 당수 겸 야당 대표가 되었고, 1929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총리가 되었다.

1931년 스컬린


집권 기간 동안 대공황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1931년 스컬린 귀국 당시 당은 대공황 대응 방식을 놓고 분열되었다. 잭 랭은 채무 불이행 등 급진적 조치를 주장하며 당내 대안 세력으로 부상했고, 뉴사우스웨일스 주 출신 의원들은 랭에게 동조하며 스컬린의 리더십에 불만을 표출했다.

스컬린과 테오도어의 인플레이션 자금 조달 계획을 비판하는 풍자 만화


결국 1931년 3월, 잭 비즐리(Jack Beasley) 등이 "랭 노동당"을 구성하며 노동당은 분열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연합당 창당과 불신임안 제출로 스컬린은 소수 정부를 이끌게 되었다.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1차 득표율1차 득표수결과당락
1910년 선거하원의원 (코랑가마이트 선거구)4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54.7%11,300표1위
코랑가마이트 하원의원 당선
1913년 선거하원의원 (코랑가마이트 선거구)5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47.8%15,173표2위낙선
1918년 선거하원의원 (코랑가마이트 선거구)7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42.5%10,630표2위낙선
1922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8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77.7%12,553표1위
1922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9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78.0%17,897표1위
1925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0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74.8%31,451표1위
1928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1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74.8%28,495표1위
1929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2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단독후보무투표1위
1931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3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59.9%22,843표1위
1934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4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65.0%25,601표1위
1937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5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64.0%37,381표1위
1940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6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57.4%32,790표1위
1943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7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60.4%36,709표1위
1946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8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63.7%39,880표1위


3. 1. 초기 정치 활동 (1906-1910)

1910년 1910년 총선에서 스컬린은 노동당 후보로 코랑가마이트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 해는 노동당의 앤드루 피셔가 여론조사에서 급상승하여 호주 최초의 다수당 정부를 구성한 해였다.[2] 스컬린은 총선 전 수년간 이 지역에서 노동 운동의 풀뿌리 조직을 개인적으로 구축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이 지역의 농촌적 성격으로 인해 노동당에 자연스럽게 호의적인 지역으로 여겨지지는 않았다.[3] 그의 선거 운동은 연방 의회의 권한 강화와 백호주의 옹호, 수입 관세 인상, 토지세 도입 등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3]

연방 의회에서 스컬린은 인상적이고 강력한 의회 논쟁가로서의 명성을 빠르게 얻었다. 그는 임기 3년 동안 광범위한 문제에 대해 발언했지만, 특히 세금 및 연방의 권한과 관련된 문제에 집중했는데, 이는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스컬린의 주요 의제가 되었다.[4] 의회 입성 1년 만에 그는 "노동당에서 가장 열렬한 토지세 옹호자 중 한 명"으로 명성을 얻었으며[2] "수년간 이 젊은 나라의 성장을 늦춰온 토지 독점"을 해체하는 데 대해 자주 발언했다.[3] 스컬린은 1911년과 1913년에 연방 권한 확대에 관한 피셔의 국민투표 질문을 열렬히 지지했지만, 두 경우 모두 모든 개정안이 상당한 득표율 차이로 부결되었다.[5] 그는 지역구에서 존경받는 인물이었고 성실하고 열정적이었지만, 1913년 총선에서 부활한 통합된 연방 자유당의 조셉 쿡을 막기에는 충분하지 않았고, 스컬린은 그 해 총선에서 많은 농촌 지역 노동당 의원들과 같은 운명을 맞았다.[5] 그는 1918년 코랑가마이트 보궐선거에서 의석 탈환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3. 2. 코랑가마이트 선거구 하원의원 (1910-1913)

Scullin영어은 1910년 총선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 후보로 코랑가마이트 선거구에서 당선되어 연방 하원 의원이 되었다.[2] 이 선거에서 앤드루 피셔가 이끄는 노동당은 여론조사에서 급상승하여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다수당 정부를 구성하였다. 스컬린은 선거 전 수년간 코랑가마이트 지역에서 노동 운동의 풀뿌리 조직을 구축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이 지역은 농촌 지역이었기 때문에 노동당에 우호적이지 않았다.[3] 그의 선거 운동은 연방 의회의 권한 강화, 백호주 정책 옹호, 수입 관세 인상, 토지세 도입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3]

스컬린은 연방 의회에서 인상적이고 강력한 의회 논쟁가로 빠르게 명성을 얻었다. 그는 3년의 임기 동안 광범위한 문제에 대해 발언했지만, 특히 세금 및 연방의 권한과 관련된 문제에 집중했다. 이는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주요 의제가 되었다. 의회 입성 1년 만에 그는 "노동당에서 가장 열렬한 토지세 옹호자 중 한 명"으로 명성을 얻었으며,[2] "수년간 이 젊은 나라의 성장을 늦춰온 토지 독점"을 해체하는 것에 대해 자주 발언했다.[3]

스컬린은 1911년과 1913년에 연방 권한 확대에 관한 피셔의 국민투표를 열렬히 지지했지만, 두 번 모두 부결되었다. 그는 지역구에서 존경받는 인물이었지만, 1913년 총선에서 조셉 쿡이 이끄는 연방 자유당에 패배하였다.

3. 3. 언론 활동 및 빅토리아 노동당 활동 (1913-1922)

제임스와 사라 스컬린의 묘, 멜버른 일반묘지

3. 4. 야라 선거구 하원의원 (1922-1949)

1922년 보궐선거에서 77.7%의 득표율로 야라 선거구에서 당선되어 연방 하원 의원이 되었다.[4] 이 선거는 멜버른의 매우 안전한 도시 지역인 야라 선거구의 연방 노동당 지도자 프랭크 투더가 사망하면서 발생했다. 스컬린은 여러 후보들을 제치고 노동당 예비 선출에서 손쉽게 승리했다.[4] 당선과 함께 스컬린과 그의 가족은 밸러랫을 떠나 리치먼드로 이사했다.[4] 연방 의회 (당시 멜버른에 위치) 와의 근접성과 안전한 의석은 더 많은 정치적 기회를 제공했고, 스컬린은 곧 노동당 선거 운동의 주요 인물이 되었다.[4] 1923년 2월 호주 노동당 전국 집행위원회에 진출했다.[5]

야당 후방 의원 시절, 스컬린은 세금과 경제 정책 등 여러 문제에 대한 주요 발언자로서의 입지를 굳혔다.[6] 부유한 목축업자의 토지세 회피에 대한 스컬린의 비난은 브루스 정부가 그의 주장을 조사하기 위해 왕립위원회를 소집할 정도였다.[6] 스컬린의 재정 문제 능력은 정부에도 도움이 되었고, 그의 제안 중 일부는 정부 법안에 반영되었다.[6]

1927년 3월, 스컬린은 의회 노동당의 부당수가 되었다.[7]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1차 득표율1차 득표수결과당락
1922년 보궐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8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77.7%12,553표1위
1922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9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78.0%17,897표1위
1925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0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74.8%31,451표1위
1928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1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74.8%28,495표1위
1929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2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단독후보무투표1위
1931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3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59.9%22,843표1위
1934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4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65.0%25,601표1위
1937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5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64.0%37,381표1위
1940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6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57.4%32,790표1위
1943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7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60.4%36,709표1위
1946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8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63.7%39,880표1위


3. 5. 야당 대표 (1928-1929)

매슈 찰턴의 뒤를 이어 1928년 연방 노동당 당수 겸 야당 대표가 되었다. 1928년 총선에서 노동당은 의석을 늘렸지만, 정권 교체에는 실패했다. 1929년, 스컬린은 노사 분규 해결과 산업 문제에 대한 연방 정부의 권한 확대를 주장하며 총선에서 승리하여 총리가 되었다.

4. 오스트레일리아 총리 (1929-1932)

제임스 스컬린은 1929년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의 압도적인 승리를 이끌며 오스트레일리아의 제9대 총리가 되었다. 그러나 그의 총리 임기는 전 세계적인 대공황의 여파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스컬린 정부는 대공황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경제 정책을 시도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준비 은행에 통화 확장을 요청했으나 거부당했고, 오스트레일리아 상원은 정부의 재정 법안을 부결시켰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컬린 정부는 긴축 재정을 추진할 수밖에 없었다.

1930년, 스컬린은 영국 정부에 오스트레일리아 준비 은행 총재로 오토 니마이어 경을 추천했다. 니마이어 경은 디플레이션 정책을 지지하며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에 긴축 재정을 요구했고, 이는 노동당 내에서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결국 스컬린 정부는 니마이어 경의 권고를 받아들여 '프리미어스 플랜'이라는 긴축 정책을 시행했다. 이 정책은 정부 지출 삭감, 임금 삭감, 연금 삭감 등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노동당 내에서 큰 분열을 야기했다. 잭 랭을 비롯한 일부 노동당 의원들은 프리미어스 플랜에 반대하며 탈당했고, 이는 노동당의 분열로 이어졌다.

1931년, 스컬린 정부는 야당의 불신임 투표에서 패배했고, 총선에서도 대패하며 정권을 잃었다. 스컬린은 이후에도 노동당 당수로 활동했지만, 1935년 건강 문제로 사임했다.

5. 총리 이후의 생애 (1932-1953)

제임스 스컬린은 1932년 총리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1935년까지 야당 대표직을 유지하며 활발한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 경제 대공황 시기에 재정 문제에 대한 전문성을 발휘하여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했다.

1930년대 후반부터 신장 질환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정계 은퇴를 고려해야 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존 커틴 총리의 요청으로 정치에 복귀하여 전시 재정 자문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국가에 기여했다.

1949년 정계에서 완전히 은퇴한 후, 멜버른에서 조용한 여생을 보냈다. 1953년 1월 28일,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장례식은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에서 국장으로 거행되었으며, 멜버른 종합묘지에 안장되었다.

스컬린은 경제 대공황과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국가를 이끌었던 지도자로서, 그의 리더십과 경제 정책은 오스트레일리아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그의 경험과 전문성은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6.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1차 득표율1차 득표수2차 득표율2차 득표수결과당락
1910년 선거하원의원 (코랑가마이트 선거구)4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54.7%11,300표 1위
1913년 선거하원의원 (코랑가마이트 선거구)5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47.8%15,173표 2위낙선
1918년 선거하원의원 (코랑가마이트 선거구)7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42.5%10,630표43.7%10,944표2위낙선
1922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8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77.7%12,553표 1위
1922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9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78.0%17,897표 1위
1925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0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74.8%31,451표 1위
1928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1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74.8%28,495표 1위
1929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2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단독후보무투표 1위
1931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3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59.9%22,843표 1위
1934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4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65.0%25,601표 1위
1937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5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64.0%37,381표 1위
1940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6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57.4%32,790표 1위
1943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7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60.4%36,709표 1위
1946년 선거하원의원 (야라 선거구)18대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63.7%39,880표 1위


참조

[1] 뉴스 James Scullin: before office https://www.naa.gov.[...]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2022-05-22
[2] 뉴스 "" 1910-09-30
[3] 뉴스 "" 1910-12-31
[4] 서적 The Whitlam government 1972–1975
[5] 뉴스 "" 1930-08-22
[6] 논문 The 1931 Australian Federal Election – Radio Makes History 2010
[7] 서적 First Among Equals: Australian Prime Ministers from Barton to Turnbull Exisle Publishing 2015
[8]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Australian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James Scullin https://web.archive.[...] 2014-10-31
[10] 뉴스 Crowds mourn late Mr. Scullin.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953-02-02
[11] 뉴스 "" 1932-05-25
[12] 뉴스 "" 1931-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